반응형 RC17 Minii Z 니켈수소 배터리(NiMh) 충전차트 장점 전압평탄성 좋음 니카드에비해 에너지밀집도가 높아 2000mA이상 고용량으로 제작 단점 메모리효과(니카드에 비하면 심하지 않으나 메모리효과는 있다) 메모리효과 방지를 위해 최초사용시나 가끔 완전방전후 완전충전하라고 하는데 요즘 출시되는 니카드, 니켈수소 충전지는 메모리효과방지회로가 있어서 많이 개선됨. 완전방전을 매번하는것이 안좋은것이었군요. 오래 쓰려면 가끔 완전 방전하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2017. 2. 16. Mini Z 도색 후 광택작업 오늘은 미니지 광내기 팁을 올려봅니다. 도색을 먼저 다 하고 데칼을 붙인 이후에 클리어 작업에 대해서 물으시는 분이 많습니다. 클리어는 도색페인트의 보호 및 도색의 발색유지를 위해서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실제 차량의 코팅과 비슷하다 생각하심 됩니다. 클리어의 종류에는 사진과 같이 유광 반광 무광이 있구요. 유광 무광은 다 아실테니 반광에 대해서 잠깐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반광은 광이 나긴 나는데 유광처럼 반짝반짝 거리지는 않고 그렇다고 무광처럼 광이 없는 것도 아닌 말그대로 반광입니다. 흔히들 프라모델에서도 자주 쓰이지 않는 마감제라 이건 건너 뛰셔도 됩니다. skip~!! 마감제를 뿌리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도색하는 방법과 비슷합니다. 얇게 여러번 뿌리고 말리고 뿌리고 말리고 이짓을 5번정도이상 하시면 .. 2017. 2. 16. Mini Z MM마운트에서 LM마운트로 변환하기 - 2편 안녕하세요 저번편에 이어 이번엔 각 마운트별로 프릭션의 조립 형태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그림을 곁들였으니 참고 바라겠습니다. 1. MM마운트일때의 프릭션 조립 위치 쇽은 붉은 화살표 위치에 물려주시면 되고 앞판과 뒷판의 조립위치는 노랑 동그라미에 조립하시면 되는데 여기서 마운트의 특성상 뒷판이 앞판위로 올라오게 조립하셔야 합니다. 요렇게요. 2. LM마운트일때의 프릭션 조립 위치 자 그럼 LM일때를 한번 봅시다. 아까와 다른게 없다고 생각하시면 관찰력이 아주 낮으신겁니다. 구멍이 한칸씩 뒤로 밀렸습니다. MM바디의 98mm를 102mm로 바꾸기 위해 약 4mm가 뒤로 빠집니다. 그럼 뒷판의 위치는 어떻게 되느냐면 LM마운트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뒷판이 아래로 내려오게 조립하셔야 합.. 2017. 2. 16. Mini Z MM마운트에서 LM마운트로 변환하기 - 1편 안녕하세요 이번에 서킷이 바뀌면서 시원시원한 직진코스가 많이 생겼습니다. 이로 하여금 이전 레이아웃과는 다르게 세팅을 하게되는데, 저는 휠베이스를 mm타입의 98미리에서 LM타입 102미리로 늘려 긴 차체가 주는 주행의 안정성부터 바꿔보았습니다. 그럼 어떤 부품이 필요한지부터 말씀드리고 다음편엔 조립시의 팁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LM전용 볼디프 (MZW206) mm볼디프와 다른점은 샤프트가 5미리정도 깁니다. 샤프트만 따로 구매할수도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2. LM전용 모터마운트(R246-1202) 전용 모터 마운트입니다. 3. MM LM호환 프릭션(R246-1222) 이 부품은 MM과 LM공용 프릭션입니다. 저도 이거때문에 조립에 꽤나 많은 애를 먹었네요. MM전용도 많이들 쓰고 계시지만 요.. 2017. 2. 16. Mini Z 내 차는 왜 이럴까? (리어털림편) 안녕하세요 오늘은 MR03 차량들이 가장 많이 겪는 현상인 리어스핀(털림)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풀어내 볼까 합니다. 일반적으로 후륜차량인 MR-03은 고속코너링에서 리어그립에 상당히 의존을 많이 하게됩니다. 주 회전축이 리어이기 때문인데요. 리어의 그립을 잃게 되면 차가 원하는 방향으로 나가지 않고 제자리에서 돌아버리거나 한바퀴 회전을 하거나 이런경우가 꽤 많이 생기게 됩니다. 이번 팁&강좌에서는 이런 원인에 대해 하나하나 짚어보고 잡아나가 보는 시간입니다. 리어가 털리는 여러가지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풀어가도록 하겠으니 한번 쭈욱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1. 프론트 타이어의 그립이 리어보다 높다. 이런 경우는 흔하지는 않은데 가끔 초보분들이 타이어는 다 같은거 아냐 하고 아무 타이어나 끼워서 가지고.. 2017. 2. 1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